
고스트 계정은 실존하는 인물의 가장이나 자동 생성된 허위 신원을 가진 계정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나 SNS, 게임, 금융 등 디지털 플랫폼상에서 실제 사용자처럼 활동하지만, 그 운영 주체가 불분명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정보 조작, 여론 조성, 불법 광고 및 보안 침해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고스트 계정’이라는 용어는 영어 ghost(유령)와 account(계정)의 결합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실체가 불분명한 계정을 의미한다. ghost는 고대 게르만어 gastiz에서 기원하여 ‘정신’ 또는 ‘보이지 않는 존재’의 뜻을 지닌다. 이 단어는 중세 영어 ghost에서 현재의 형태로 정착했다. 여기서의 ghost는 본래 죽은 자의 영혼을 지칭하지만, 디지털 맥락에서는 존재하지만 실체가 없는 계정, 즉 현실적으로는 존재하지 않거나 활동 주체가 드러나지 않는 익명성을 내포한다.
한자 문화권에서 이 용어를 차용할 경우 ‘유령계정(幽靈계정)’이라는 표현이 사용된다.幽는 ‘깊고 어두운’, 靈은 ‘영혼’을 의미하며, 계정은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를 지칭한다. 한자의 의미를 통해 보면, ‘유령계정’은 명확한 신원이 없는 얕거나 은밀한 존재로 활동하는 계정을 직관적으로 표현한다. 이는 실체를 드러내지 않거나 특정 목적을 위해 익명성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환경에서 적절한 표현이라 할 수 있다.
고스트 계정의 개념은 인터넷 익명성과 함께 발전했다. 특히 2000년대 중반 소셜 미디어가 도입되면서 고스트 계정은 선거 개입, 여론 조작, 클릭 수 조작 등의 용도로 부각되었다. 러시아의 인터넷 리서치 에이전시(IRA)는 가상의 신분으로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 수천 개의 고스트 계정을 만들어 미국 대통령 선거 여론을 조작한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고스트 계정이 미치는 정치적, 사회적 파장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대표적인 사례로 2016년 미국 대선을 들 수 있다. 당시 러시아의 개입 의혹은 수많은 고스트 계정들이 정치적 메시지를 퍼뜨리고 가짜 뉴스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Howard et al., 2019), 이들이 실제 유권자들의 의견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존재한다. 이러한 일화는 고스트 계정이 단순한 프라이버시 수단이 아니라 디지털 정보전의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 보도 및 연구에 따르면 고스트 계정은 여전히 다양한 목적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2023년 뉴스위크 보도에서는 유명 틱톡 인플루언서들 가운데 평균 20~30%의 팔로워가 고스트 계정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광고 시장 신뢰도 저하로 이어졌다. 또한 Haq et al. (2021)의 연구에 따르면, 인공지능으로 생성된 고스트 계정은 감정 분석 알고리즘이나 봇 탐지 기능을 우회할 수 있을 만큼 정교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신뢰 기반의 플랫폼 설계가 위협받고 있다는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고스트 계정에 관한 학술 연구는 인지심리학, 컴퓨터 과학, 사회학, 정치학 등 다학제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연구(Huang, Lee & Friedland, 2022)는 머신러닝 기반 알고리즘이 고스트 계정을 93% 이상의 정확도로 탐지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이 논문은 플랫폼이 콘텐츠 품질을 개선하고, 사용자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있어 고스트 계정 탐지가 핵심 과제임을 지적한다. APA 형식의 인용은 다음과 같다: Huang, Y., Lee, D., & Friedland, G. (2022). Detection of Fake and Ghost Accounts Using Deep Learning. Journal of Digital Trust, 3(2), 101-117.
고스트 계정은 기술 및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프라이버시 보호가 필요한 언론인, 정치 망명자, 인권 운동가 등이 신원을 숨기기 위해 고스트 계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반대로 기업에서는 경쟁사 모니터링이나 제품 반응 조사를 위해 익명 계정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윤리성과 투명성 확보라는 과제와도 맞닿아 있다.
고스트 계정에 대한 분석은 디지털 시대 윤리와 신뢰, 기술적 투명성 문제를 함께 다룰 수 있는 중요한 토대를 제공한다. 이 현상은 단순히 비양심적 활용의 결과물이 아니라 현대 디지털 문화에서 사용자 정체성과 프라이버시, 그리고 네트워크 파워의 지형을 보여주는 거울이기도 하다. 특히 AI와 빅데이터 분석이 활성화된 이후, 사용자의 실재성과 영향력을 정밀히 측정하는 지표로 실시간 계정 분석의 정교함과 함께 고스트 계정의 탐지 및 제거가 플랫폼 신뢰도의 핵심이 되었다.
플랫폼 관리자들은 단순한 계정 숫자보다는 ‘활성화된 실 사용자 비율’을 우선순위로 삼아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광고 단가, 추천 알고리즘, 사용자 범주화를 재정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 본인 확인(KYC) 절차 강화, 다단계 인증, 의심 계정 경고 시스템 등의 보완책도 병행되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불편함을 유발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투명성 확보와 진정성 있는 커뮤니케이션 문화가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Paul, C., & Matthews, M. (2016). The Russian “firehose of falsehood” propaganda model. Rand Corporation, 2(7), 1-10.
Haq, I., Javed, M. Y., & Abbas, H. (2021). Characterizing and detecting AI-generated fake and ghost social media accounts. Artificial Intelligence Review, 54(8), 6569–6591.
Howard, P. N., Ganesh, B., Liotsiou, D., Bradshaw, S., & Kelly, J. (2019). The IRA, Social Media and Political Polarization in the United States. Computational Propaganda Research Project.
Huang, Y., Lee, D., & Friedland, G. (2022). Detection of Fake and Ghost Accounts Using Deep Learning. Journal of Digital Trust, 3(2), 101–117.
Newsweek. (2023). TikTok Followers Under Scrutiny as Bots Rise. Retrieved from https://www.newswee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