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U(Monthly Active Users)는 ‘월간 활성 사용자 수’를 의미하며, 특정 서비스를 월 단위로 실제로 사용하는 고유 이용자 수를 가리킨다. 이는 플랫폼의 인지도와 실질적인 활용도를 측정하는 핵심 지표로, 인공지능(AI) 서비스 분야에서는 사용자…
소버린AI(Sovereign AI)는 특정 국가 또는 주권체가 자국의 가치, 법률, 제도, 문화에 기반하여 독자적으로 인공지능을 개발·통제·운영하는 체계를 말한다. 이는 기술주권 확보, 데이터 주권 강화, 외부 의존도 최소화를 목표로 한다. ‘Sovereign AI’라는…
유네스코 AI윤리 권고사항(Recommendation on the Eth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은 2021년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가 전 세계 회원국을 대상으로 마련한 최초의 국제 AI 윤리 기준으로, 인권 중심적이고 포용적이며 지속가능한 인공지능 개발 및 활용을…
EU HLEG의 「신뢰할 수 있는 AI를 위한 윤리지침」(Ethics Guidelines for Trustworthy Artificial Intelligence)은 유럽연합의 고위급 전문가 그룹(EU High-Level Expert Group on AI)이 2019년에 발표한 문서로, 인공지능 기술의 개발과 활용에 있어…
EU HLEG(European Union High-Level Expert Group)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가 특정 정책 분야에서 전략적 방향성과 권고를 도출하기 위해 구성하는 고위급 전문가 자문기구로, 전문가 집단의 독립적인 견해를 토대로 중장기 정책 로드맵을 마련하는…
고스트 계정은 실존하는 인물의 가장이나 자동 생성된 허위 신원을 가진 계정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나 SNS, 게임, 금융 등 디지털 플랫폼상에서 실제 사용자처럼 활동하지만, 그 운영 주체가 불분명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응용 프로그램이 서로 통신하고 기능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은 사용자 식별, 인증, 권한 관리를 통해 정보 시스템 접근을 통제하는 보안…
골디락스 효과(Goldilocks Effect)는 관찰자 또는 시스템이 정보나 환경의 자극, 조건, 자원 등의 요소에서 ‘너무 많지도 적지도 않고 적당한 수준’을 가장 선호한다는 인지적, 생물학적 현상이다. 이는 최적균형을 찾으려는 심리 및 진화적…
구속적부심이란 수사기관에 의해 구속된 피의자가 그 구속이 부당하다고 판단될 경우, 법원에 그 타당성을 다시 심사해달라고 청구할 수 있는 절차이다. 이는 헌법상 신체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 구속의 남용을 방지하고…
체포적부심은 수사기관에 의해 체포된 피의자가 구속되기 전 단계에서 그 체포의 적법성과 타당성을 법원이 심사하여 위법하거나 부당한 경우 석방을 명령할 수 있도록 한 인신보호제도의 하나이다. 이는 국민의 신체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